공공요금이 앞다퉈 고개를 들고 있다. 대통령 선거가 끝나자 때를 기다렸다는 듯 줄줄이 인상안을 발표하고 있다. 해당 기관들은 오랜 기간 가격이 동결돼 올리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원가 부담이 높아져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공공요금의 사회적 여파를 감안하면 걱정된다. 더욱이 가계 지출 요인이 많은 연말연시여서 시민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선 이틀 후인 지난 21일 국토해양부가 광역상수도와 댐 용수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각각 톤당 4.9%, 4.97% 올린다는 방침이다. 매년 인상해 온 민자고속도로 통행료도 또 오른다. 오는 27일부터 노선별로 100~400원가량 인상된다. 물가상승률 4.16%를 반영했다는 설명이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쓰린 게 사실이다. 사실상 예고돼 있다시피 한 전기요금안도 조만간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임 한국전력공사장이 지난 17일 취임식에서 전력요금 인상 해법을 찾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공공요금 인상 계획이 잇따라 나오자 가뜩이나 고물가에 시달리는 시민들은 부쩍 긴장된 표정이다. 이미 오를 대로 오른 시중물가가 다시 들썩이고 있다. 당장 식탁물가에 비상이 걸렸다는 소식이다. 이달 들어 소주와 밀가루 등 서민 생활과 밀접한 4가지 식품 가격이 적지 않은 폭으로 올랐다. 이것이 관련 제품의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질 게 뻔하다. 가장의 월급과 아이의 성적을 빼고 모두 올랐다는 주부들의 하소연이 괜한 말이 아니다.

공공요금에 손을 대는 사정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 국제시장에서 원유·곡물·설탕값이 치솟았다는 것도 잘 안다. 인상 요인이 발생했으니 당연히 현실화해야 할 사안이다. 문제는 시기와 인상 폭이다. 장기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서민들의 생활에 미치는 여파가 크기 때문이다. 더욱이 겨울철이고 연말연시여서 가계 부담이 가중되는 때다. 또한 시중 물가는 계속 뛰고 있는 실정이 아닌가. 요금 인상요인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정부 정책이라고 할 수 없다. 통제력을 발휘해야 한다. 생산·보급가격 절감노력을 충분히 보이고 나서 국민을 설득해야 옳지 않은가. 아울러 우선순위를 가려 인상 시기를 조정해야 충격이 줄어든다. 물가안정 대책부터 내놓고 공공요금을 거론하는 게 순리다.

저작권자 © 내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