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웅 편집국장

가뜩이나 전국 신문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서울의 거대 과점보수신문들이 종합편성채널(종편)이라는 날개까지 달고 '미디어 공룡'으로 출발을 하였다.

이에 지역의 몇몇 일간지들도 "종편 개막과 함께 새로운 통합 미디어시대를 활짝 열게 됐다"며 자사 홍보에 나서고 있다. 특히 한국지방신문협회(한신협)는 지난해 11월 <동아일보>의 '채널A'와 뉴스제공 협약을 체결한 이후 종편 개국에 맞춰 지난 달 말부터 "방송진출을 하게 됐다"고 대대적으로 자랑하고 나섰다.

다른 지역 일간지들도 <중앙일보>의 'jTBC', <조선일보>의 'CSTV'와 컨소시엄을 맺고 너도 나도 방송진출에 부풀어 있기는 마찬가지다. 보수신문들의 종편과 협력을 맺은 지역 신문사들은 촬영 인력과 카메라 등 방송 설비를 갖추면서 종편 출범을 은근히 기다려 온 눈치다.

그러나 강혜란 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정책위원은 “종편의 등장으로 시청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보다 피해가 더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종편의 재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접광고 허용 등 광고 규제 완화는 언론의 대기업에 대한 종속이 심화되고 콘텐츠에 정치적 의도가 개입돼 국민의 알권리가 막힐 가능성이 크다고 강 위원은 지적했다.

그는 종편이 정부·여당과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보수 신문사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출범했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특정 집단을 비호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과연 종편이 앞으로 다가올 총선·대선에서 국민들의 선택을 도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까?

방송 보도·제작과 광고영업의 분리라는 미디어로서의 최소한의 공공성마저 담보되지 않는 종편에 대해 사실 기대를 갖는 것조차 무리이다.

지역언론들도 한 때는 "종편이 광고를 직접영업하면 지역언론이 고사한다"며 정부의 지나친 특혜를 비난한 바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언론의 작금의 행태는 더도말고 덜도말고 ‘살아남기’ 위해 강자에게 빌붙는 가련한 모습이다.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전하며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지키는 ‘참’ 언론이 사라지고 있다.

저작권자 © 내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