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웅 편집국장

10.26 재보선이 일주일 채 남지 않았다. 당과 후보자들은 연일 강행군이다. 운동원들이 춤을 추고 노래 부르는 등 선거운동은 그야말로 백태다. 유권자 역시 지역의 참 일꾼 선택에 고심 중이다. 이러는 것이 정상적인 선거 문화다.

하지만 이런 긍정적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현상 하나는 근본적으로 선거를 냉소적 자세로 보는 부류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은 자신의 일과 무관하다며 선거를 치지도외한다. 누가 당선되든 문제될 것 없다는 태도다. 이 시간 여전히 누가 출마했는지, 공약이 무엇인지 등 선거 관련 정보를 아예 듣지도 보지도 않으려 하니, 딱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취하는 민주주의는 민의를 대신할 사람을 뽑아 내가 직접 할 수 없는 일을 대신하게 하자는 것이다.

이런 기본적인 논의를 새삼 하는 이유는 그럼에도 선거를 마치 남의 일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적지 않아 10.26 재보선에 투표율이 3~40%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선거 캠프에서는 “부동층이 변수다”라는 소리를 한다. 이는 즉 선거 구도가 이미 잡혀 있는 정황 아래 부동층 흡수가 곧 당락을 결정하리란 얘기다.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없다. 물론 선택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유권자의 경우 긍정할 수 있지만, 선거에 냉담한 일부 유권자들이 선거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정당도 후보자도 알려 하지 않아 문제다. 선거운동이 주로 이들의 관심을 촉구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어서야 대의민주 제도의 온전한 작용을 바랄 수 있겠는가 하는 말이다.

투표율이 낮으면 당선되더라도 대표성에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3~40%대도 안 되는 낮은 투표율로서야 어찌 중앙에 대응한 지방자치를 논할 수 있겠는가.

물론 후보자들의 상대방 헐뜯기 비방과 네거티브 선거전이 혼탁양상을 빚기도 했지만 열정을 갖고 정책대결에 임한 후보도 적지 않다.

풀뿌리 민주주의니, 민주주의 훈련장이니 하는 얘기를 굳이 강조하지 않더라도 지방선거는 성격상 전국 선거인 총선이나 대선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지역을 위해 일할 일꾼을 뽑는데 지나치게 정치적 의미를 부여할 필요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될 것이다.

이 점에서 유권자는 내 지역 일꾼을 뽑는데 무관심을 보여서는 안 된다. 그런데도 아직 누구를 선택할지 고민하거나 아예 주권을 포기하려 한다면 스스로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셈이다.

인간사가 그렇듯 선택 대상에서 마땅한 인물이 없을 수도 있는 게 삶의 경험칙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최선이 아니면 차선을 택해서라도 주권을 행사해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불만을 덜 느끼게 되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곧 가장 현명한 방식이고, 이상에 꼭 맞지는 않지만 현실적으로 이 정도면 바람직한 선택이라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적절한 지도자를 찾지 못할 이유가 없다.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는 내지역 발전을 위해 필요한 리더십이 무엇인지 냉철하게 살피는데 품을 팔아 선택해 주기 바란다. 투표율이 낮으면 당선되더라도 대표성에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다. 지역의 현안을 제대로 다루려면 부동층이 깨어나야 한다.

저작권자 © 내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