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주역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도시민의 농촌 이주, 즉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충남도에서는 다양한 귀농․귀촌 형태를 다각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이들의 안정적인 농촌 삶을 지원하고 나아가 시들어가는 농촌에 활기를 불어넣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충남발전연구원 유학열 책임연구원은 “충남 귀농․귀촌 실태 분석과 과제”(충남리포트 제40호)에서 충남의 귀농인구 변화와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 그리고 충남 농촌지역으로의 이주행태 분석을 통해 “충남의 귀농인구(가구)는 전국적인 추세와 마찬가지로 2005년 이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2009년을 기점으로 과거 9년 동안 서천군이 181세대로 가장 많았으며, 공주시(137세대), 논산시(126세대) 순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귀농인구가 급증한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IMF 경제위기로 인한 ‘생계형 전업농업형태’의 귀농이 많았으나, 2005년 이후에는 ‘은퇴귀농형’, ‘농촌지향형’, ‘휴양요양형’, ‘도시출퇴근형’ 등 생계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귀농․귀촌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며 농촌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 변화에 주목했다.

유 박사가 전국 도시민 2,000명을 대상으로 한 농촌정주수요조사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향후 농촌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중에 충남지역을 선택한 비율은 9.1%로 경기 19.2%, 경남 11.4%, 강원 11.2% 다음이었다. 그리고 충남지역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들은 ‘은퇴 후에 여가생활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농촌이 살기 더 좋기 때문(25.6%)’, ‘나 자신이나 가족의 건강 때문(17.3%)’ 등의 이유를 들었다.”

그리고 “농촌 이주시 가장 선호하는 지역으로 61.7%가 자연환경과 경관이 좋은 지역이라고 응답했고, 농촌 이주에 따른 생활환경의 불편함(36.9%)을 가장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시설의 부족(36.0%)과 자녀 교육환경 부족(32.2%)을 가장 불편한 점으로 꼽았다.”고 말하면서 “귀농․귀촌시 필요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으로 생활여건 개선(38.3%)을 가장 원했으며, 그 다음으로 일자리 제공(15.3%), 농촌정착에 필요한 자금지원(14.6%) 등”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유 박사는 충남 농촌으로의 이주 행태를 보다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농산어촌의 특징을 지닌 15개 시․군(계룡시 제외) 총30개 면을 대상으로 2009년 한 해 동안의 전입․전출자를 조사한 결과 “충남 농촌지역(면지역)으로 전입한 자의 바로 전 거주지(전출지)는 동일 시·군에서 33.1%, 도내 타시·군에서 15.8%, 타시·도에서 51.1%로 나타나 절반 이상이 충청남도가 아닌 타시·도에서 전입해 왔다.”면서도 “시·군별 전입자의 전출지 분포 특징을 살펴보면, 천안시 광덕면과 수신면의 경우 인접한 충북으로부터의 전입이 뚜렷이 많았으며, 공주시 반포면, 금산군 복수면․금북면의 경우는 대전시로부터의 유입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월등히 높았고, 서천군 마서면의 경우 전북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이 타 시·도 가운데 가장 비율이 높았다. 또한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이 비교적 많은 지역은 아산, 서천, 태안으로 나타나는 등 지역적 접근성이 농촌이주의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유 박사는 “지역적․유형별 다양한 귀농․귀촌 특성을 보임은 물론, 귀농․귀촌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충남도를 비롯한 대부분의 시․도 및 지자체에서는 이들에 대한 지원책이 상당히 부족한 형편”이라면서 “귀농․귀촌 인구에 대한 정확한 예상 분석과 관련 통계를 정비해야 하고, 중앙정부가 추진중인 귀농․귀촌 지원시책과 맞물려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실효성있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내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